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블루스크린 현상을 겪을 때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뉴욕타임스퀘어 전광판을 비롯한 전 세계의 850만 대의 컴퓨터에서 블루스크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시스템에러로 IT업계와 통신업계 이외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최근 발생한 블루스크린의 사례와 피해
해외에서는 GSOD(Blue Screen Of Death)로 죽음의 파란 화면으로 부릅니다. MS사에서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면 푸른색 화면이 보이는데 운영체제의 커널 패닉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PC나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종종 마주하게 되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최근 발생한 블루스크린의 원인으로는 2024년 크라우드스트라이크발 전산 마비 사태로 윈도우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PC에 보안업데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윈도우 시스템과 보안프로그램 간의 충돌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 윈도우 서비스 문제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크라우드 스트라이크보안 업데이트에서 팔콘센서와 윈도우 시스템 간의 충돌로 인한 에러임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기업들과 개인의 PC에서 같은 문제로 블루스크린이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Windows10을 사용 중인 기업과 개인 그리고 Windows11을 사용하는 일부 사용자에게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블루스크린이 발생하면 시스템의 재부팅이 되지 않으며, 블루스크린이 지속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보다는 기업의 입장에서 치명적인데, 클라우드서비스를 하는 기업이나 은행, 마켓에서 보안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항과 교통망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산망에 문제가 발생하여 항공편 역시 취소되기도 합니다. 기존에 윈도우를 사용하던 기업에서는 시스템이 복구되기 전까지 수동업무로 전환할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윈도우와 충돌한 팔콘센서의 역할
그렇다면 문제가 발생한 팔콘센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위험을 인지,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합적 상황을 분석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알려줍니다. 기업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높은 처리 능력과 실시간으로 치명적인 해커의 공격에 대응해야 하는 기업의 디지털 보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블루스크린의 대표적 원인 3가지
위에서 언급했듯이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에 따른 프로그램 충돌이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대표적인 원인은 크게 3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로 인한 시스템 감염
2. 메모리 부족 또는 손상
3. 윈도우 시스템소프트웨어 에러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로 인한 시스템 감염
악성코드 혹은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환경 요인으로 인하여 PC 및 노트북에 블루스크린 현상이 발생합니다. 시스템에 방해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 손상과 더불어 정상적인 시스템 운영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부족 또는 손상
가장 흔한 발생원인인 '메모리 부족이나 손상'으로 인한 원인은 PC본체 내에서 머더보드와 메모리의 접촉불량이 있는 경우로 부품의 노후와 또는 부품 간 먼지, 이물질에 의한 접촉불량상태가 원인이 되기도 하며, 또는 저장장치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 특정파일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면 발생하기도 합니다.
윈도우 소프트웨어 에러
윈도우 소프트웨어에서 발생되는 에러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파일이 손상되면, 엡데이트된 드라이버와 기존드라이버간의 충돌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슈들로 인해서 블루스크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최대한 빨리 업데이트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PC, 노트북 블루스크린 해결방법
일반적으로 수리업체를 방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몇 가지의 자가진단을 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백신프로그램 실행하기
2. 하드디스크 용량정리하기
3. 윈도우 업데이트 실행하기
4. 포멧하기
백신프로그램 실행하기
첫 번째 방법으로 백신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로 인해서 블루스크린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V3와 같은 백신프로그램으로 최적화, 검사작업을 진행합니다.
하드디스크 용량정리하기
두 번째는 설치된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제거하여 시스템 내 용량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설정에서 설치된 앱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앱을 골라 오른쪽에 있는 더 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거 메뉴를 눌러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실행하기
세 번째는 윈도우 업데이트로 설정에서 Windows 업데이트메뉴를 선택하고 업데이트 확인 버튼을 눌러 업데이트를 실행합니다.
포맷하기
포은 컴퓨터를 완전히 초기화하는 과정이므로 기존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소개한 방법이 모두 통하지 않는다면 어쩔 수 없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 방법입니다. 먼저 설정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그리고 복구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제 'PC초기화'버튼을 선택하면 하드디스크를 포맷할 수 있습니다.